학업&라이프 TIP/취업정보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실크로드의 부활

한알맹 2010. 12. 24. 08:30



안녕하세요~ 한국방송통신대 블로그 지기입니다.
방송대 블로그에서 책을 소개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오늘 추천드리는 책은 "실크로드의 부활"이라는 책입니다~



-중국과 아랍, 세계경제 질서를 재편하는가?-

강력한 오일 달러로 금융계의 거물이 된 아랍, 뉴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과 파트너가 된 중국,
지금 세계경제의 중심이 흔들리고 있다.


 

도서명: 실크로드의 부활
저자: 벤 심펜도르퍼
출판사: 지식의 날개
발행연도: 2010


"실크로드의 부활" 이라는 책은 세계적으로 경제적ㆍ문화적인 면에서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
중국과 아랍의 결합에 예의주시고하고 있습니다.

서구를 등지고 중국과 잡은 아랍.. 이 두 나라가 만들어가는 새로운 경제 흐름,
중국과 아랍 경제 권위자의 눈으로 바라본 세계경제의 미래에 대해서
한국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말하고 있습니다.



 <제2의 부흥기를 맞이한 아랍 세계>
고대 실크로드 전성기 이후에 세계의 변방에 자리 잡고 있던 아랍권은 9·11 테러 이후 서구와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외교적 긴장상태를 형성하면서 중국과의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경제적 부흥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 또한 아랍과의 밀착을 통하여 미국을 제치고 세계경제의 중심이 되려고 하고 있다.

유가 급등으로 주머니가 두둑해진 아랍은, 예전 조상들이 이슬람 회랑이라고 하는 실크로드를 따라 무역을 했던 것처럼 그들에게 익숙한 경로를 따라 오일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사실 이전에는 오일 달러를 유럽이나 미국에 투자했지만 이제는 투자 대상이 실크로드권이 된 것이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두바이, 오만, 카타르의 아랍 투자자들은 투자의 90% 이상을 레바논,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등 이웃 국가에 집중하고 있고, 이제는 실크로드의 종착지 중국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저자의 주장 중에 특이한 부분은 부활하는 실크로드의 주인공이 중국과 아랍권을 오고가는 개인 무역상들이라는 점이다. 그들은 신문의 헤드라인을 차지하지 못하고 경제관련 통계로도 드러나지 않지만 서구 중심이었던 세계경제의 질서를 재편하는 데 큰 동력이 될 것이다.

<아랍은 중국을 벤치마킹하고 중국은 아랍 문화를 배우다>
아랍 세계가 중국의 경제 모델을 벤치마킹해서 노동 인구를 증가시키려고 하는데 젊은 여성 인력에 의존했던 중국 모델을 따르려고 하고 있다. 아랍권이 석유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금융시장 개방을 통해 성장 동력을 갖추고 있는 시점에서 유연하고 풍부한 노동력까지 더해진다면 아랍권은 지금의 중국 못지않은 거대한 세계경제 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실크로드는 문화적 요소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능숙한 아랍어로 인터뷰하는 중국 관료의 모습이 알자지라 방송에 나오고, 중국에서는 이슬람교 예배당인 모스크를 짓고 있다. 아랍의 석유가 필요한 중국은 수십 년 전부터 아랍어에 능통한 관료를 양성하는 데 노력했다. 그리고 알자지라 방송이 세계 미디어의 관심을 받게 되자 중국 내에 이 방송사의 지국을 설치해 주고 홍보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메시지를 세계에 전달하려고 한다.

<현재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외교활동 해야>
2010년 11월 G20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우리나라는 세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G7이 아닌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우리나라가 이번 회의에서 새롭게 내놓은 의제는,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낮지만 세계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인 개도국과 저개발 국가를 원조하는 ‘개발 이슈’다. 개발 원조를 위해 다른 지역에 진출할 때에는 경제 교류뿐만 아니라 문화 교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그 지역의 문화를 배우기 위해서는 그 나라 언어를 배우는 일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사정은 어떤가. 현재 우리나라의 아랍권 외교관 86%가 아랍어를 못 하는 실정인데, 이는 얼마 전 발생한 리비아 외교문제의 원인이기도 했다. 외교활동은 현지 문화의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중국과 아랍지역의 활발한 교류를 경제적 ․ 문화적 차원에서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한 이 책은 우리나라 중동 진출 방식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홈페이지
http://www.kno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