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깊어지는 계절 가을에는 책도 더 읽고 싶어지고, 생각도 깊어지죠. 이번 가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고전 인문학에 대해 배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주관하는 <2016년 「길 위의 인문학」 사업 '고전인문학당'> 프로그램 운영 기관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앙도서관이 선정되었다는 기쁜 소식이 있습니다. 운영 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앞으로 방송대 도서관에서 '고전인문학당' 프로그램이 9주간 운영될 예정이에요.
'고전인문학당' 프로그램은 동양 고전과 서양 고전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동양 고전인문학당에서는 '중국 사대 시인(이백, 두보, 도연명, 소동파)과 떠나는 한시 산책'을 주제로 다루고, 서양 고전인문학당에서는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함께 읽기'를 주제로 9월 마지막주부터 11월까지 9주 간, 각각 매주 1회씩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 고전인문학당 강연에는 중어중문학과의 김성곤 교수님과 문화교양학과의 백영경 교수님께서 직접 강연 진행을 맡아 주셨는데요, 교수님과 함께 할 수 있는 강연과 토론 프로그램 덕분에 벌써 많은 분들께서 참여해주셨답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고전인문학당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랄게요!
<'방송대 도서관과 함께하는 '고전인문학당' 프로그램 관련 정보>
▶ 프로그램 주제 : 이 가을, 대학로에서 만나는 시와 꿈 ▶ 참가 신청 기간 : 2016. 9. 19(월) ~ 모집 인원 충원 시까지 ▶ 모집인원 : 동양 고전인문학당 40명 / 서양 고전인문학당 35명 ▶ 수강료 : 무료 (주제 도서는 개별 구입하여 준비) ▶ 신청방법 :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 도서관 이용자 교육 - 교육 공지 및 신청' 에서 신청 ▶ 문의 : 02-3668-4381 |
<동양 고전 인문학당 프로그램 일정 상세 안내>
구분 |
일시 |
장소 |
세부 주제명 |
강의 내용 |
1강 |
9/27 (화) 18:00~21:00 |
역사관 2층 세미나실 |
시선 이백의 삶 |
이백 시의 술과 달이 갖는 문학적 의미 탐색 및 죽음 설화의 구성 |
2강 |
10/4 (화) 18:00~21:00 |
시선 이백의 |
<靜夜思>, <山中問答>, <將進酒>, <行路難> | |
3강 |
10/11 (화) 18:00~21:00 |
시성 두보의 삶 |
두보의 꿈과 좌절, 전쟁과 고난 | |
4강 |
10/18 (화) 18:00~21:00 |
시성 두보의 시 |
<望岳>, <三吏三別>, <春夜喜雨>, <登高> | |
5강 |
10/26 (수) 18:00~21:00 |
국화의 시인 |
자연으로 돌아가 진실한 삶을 추구한 도연명의 삶 | |
6강 |
11/1 (화) 18:00~21:00 |
국화의 시인 |
<飮酒>, <歸園田居>, <桃花源記> | |
7강 |
11/8 (화) 18:00~21:00 |
천재 시인 |
탁월한 문장가요, 뛰어난 예술가였던 소동파의 삶 | |
8강 |
11/15 (화) 18:00~21:00 |
소동파의 |
<題西林壁>, <和子由澠池懷舊>, <赤壁賦> | |
후속 모임 |
11/16 (수) 18:00~20:00 |
중국 한시 개설 및 참가자 소회 발표 |
중국 한시의 현대적 의미에 대한 담론 및 참가자 소회 발표 |
<프로그램 당일 일정 상세 안내>
시간 |
내용 |
비고 |
18:00~18:30 (30분) |
참가자 등록 및 고전 독서 |
『시가 1(詩歌 1)』 (류종목 저) |
18:30~20:30 (120분) |
고전 강의 |
김성곤 교수 (중어중문학과) |
20:30~21:00 (30분) |
독서토론 및 질의응답 |
|
<서양 고전 인문학당 프로그램 일정 상세 안내>
구분 |
일시 |
장소 |
세부 주제명 |
강의 내용 |
1강 |
9/26 (월)18:00~21:00 |
열린관 105호 |
유토피아, 어디에도 없는 곳 |
지금 왜 『유토피아』인가 |
2강 |
10/5 (수) 18:00~21:00 |
열린관 312호 |
양이 사람을 먹는다 - 유토피아의 시대 |
근대의 시작과 근대 비판 텍스트로서의 『유토피아』 |
3강 |
10/10 (월) 18:00~21:00 |
열린관 105호 |
유토피아의 선구자들 |
『유토피아』 이전에 다른 세상을 꿈꾼 텍스트들 |
4강 |
10/17 (월) 18:00~21:00 |
유토피아가 꿈꾼 세상 |
『유토피아』에 드러난 사회제도, 행복, 쾌락 | |
5강 |
10/24 (월) 18:00~21:00 |
섬과 유토피아 |
다른 세상에 대한 상상력의 원천으로서 섬에 대해 | |
6강 |
10/31 (월) 18:00~21:00 |
농담, 풍자, 그리고 유토피아 |
농담과 풍자가 수행해 온 사회비판의 기능에 대해 『빼앗긴 자들』 | |
7강 |
11/7 (월) 18:00~21:00 |
우리 시대의 유토피아 문학 |
우리 시대에 살아있는 유토피아 문학의 사례 | |
8강 |
11/14 (월) 18:00~21:00 |
유토피아, 현명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는 곳 |
유토피아를 현실에서 만들어내기 위한 노력들 | |
후속 모임 |
11/15 (화) 18:00~21:00 |
열린관 312호 |
유토피아, 우리가 꿈꾸는 세상 |
무엇이 제대로 된 사회비판을 만드는가에 대한 담론 및 참가자 소회 발표 |
<프로그램 당일 일정 상세 안내>
시간 |
내용 |
비고 |
18:00~18:30 (30분) |
참가자 등록 및 고전 독서 |
『유토피아』 (토마스모어 저) |
18:30~19:30 (60분) |
고전강의 |
백영경 교수 (문화교양학과) |
19:30~20:30 (60분) |
독서토론 및 질의응답 |
강연자-참여자 간 |
20:30~21:00 (30분) |
자유토론 |
참여자 간 |
이번 '고전인문학당' 프로그램은 오는 11월까지 동양/서양 각각 매주 1회씩 무료로 운영될 예정이니, 평소 인문학이나 고전문학에 관심 갖고 계셨던 분들이라면 꼭 참여해보시기 바랍니다!
'방송대 소식 > 방송대는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대 동문과 함께하는 <평생학습 행복나눔 박람회> 개최 안내 (11/5) (0) | 2016.10.28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가족이 늘었어요! (2016년 2학기 신·편입생 모집 결과 인포그래픽) (0) | 2016.10.05 |
방송대학TV의 스무 번째 생일을 축하해주세요! (특집 프로그램 및 공모전 안내) (0) | 2016.09.21 |
TV로 공부를 한다? 방송대학TV 보면서 열공하자! (0) | 2016.08.22 |
믿고 보는 방송대 교재, 어디에서 왔니? (0) | 2016.08.03 |